linux4 [Linux] File File 관련 명령어 touch [File Name] : 파일 생성 head [File Path] : 파일의 상위 10줄 출력 tail [File Path] : 파일의 하위 10줄 출력 cat [File Path] : 파일 모든 줄 출력 옵션들 head -n 100 [FILE Path] : 상위 100줄 출력 (head -100 [FILE Path]) 2022. 9. 26. [Assembly] Hello world 출력 Assembly Hello World section .data msg db "hello world"; data 영역에 msg라는 포인터 변수가 Hello world의 주소를 갖는다 section .text global_start; text영역에 start함수 정의 _start: mov rax, 1; rax에 1입력 (System Call Write) mov rdi, 1; rdi에 1입력 (unsigned int fd) mov rsi, msg; rsi에 데이터 영역에 있는 포인터 변수 msg입력 (const char *buf) mov rdx, 12; mov rdx, 12 (문자열의 글자 수) syscall; System Call (sys_write) mov rax, 60; rax에 60입력 (System .. 2022. 9. 18. [Linux] Directory Command Directoru Command pwd: 현재 작업 디렉토리 확인 cd : 작업 디렉토리 변경 ls : 디렉토리 내용 확인 mkdir : 디렉토리 생성 rmdir : 디렉토리 제거 mv : 디렉토리 이름 변경 mv : 디렉토리 이동 cp : 디렉토리 복사 ls ls [확인할 디렉토리] : 디렉토리 내용 확인 -a : 숨겨진 파일까지 모두 표시 -l : 더 자세한 결과 출력 A :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 B : 하드 링크 수 C : 파일의 소유자 UID D : 파일 관리 그룹 GID E : 파일의 크기 (파일 이름 앞에 [ . ]이 붙어 있으면 숨김 파일이 됨) mkdir mkdir : 폴더 생성 -p : 하위 구조도 함께 생성 rmdir rmdir [삭제할 디렉토리 이름] : 디렉토리 안에 뭔가가 있으면.. 2022. 9. 4. [Linux] 기본 환경 linux 기본 구성요소 쉘 : 명령어를 커널이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로 바꿔주는 일을 함 Kernel(커널) : 컴퓨터 자원을 관리하는 역할 메모리 관리 프로세스 관리 장치 드라이버 시스템 호출 및 보안 명령어 : 우리가 입력하는 명령어는 하나의 프로그램이다 Prompt 컴퓨터가 입력을 기다리고 있음을 가리키기 위해 화면에 나타나는 표시 일반적으로 리눅스의 Prompt는 현재 작업 디렉터리,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등에 대한 정보 표시 명령줄 인터페이스 -> 텍스트 터미널을 통해 사용자와 컴퓨터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뜻함 -> 즉, 작업 명령은 사용자가 컴퓨터 키보드 등을 통해 문자열의 형태로 입력하며 컴퓨터로부터의 출력 역시 문자열 형태로 주어짐 -> 명령어의 구조 명령어 : 시스템에서 특정 작업을 .. 2022. 9. 3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