💻 Computer/🦌 Network10 [Network] TCP, UDP TCP와 UDP란 무엇인가 나의 프로그램과 다른 컴퓨터에 있는 프로그램이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4 계층 프로토콜이다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메시지 형태로 보내시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 일반적으로 TCP와 IP를 함께 사용하는데, IP가 데이터를 배달하는 업무를 한다면 TCP는 패킷을 추적 및 관리하는 업무를 맡는다. TCP는 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토콜로 인터넷 환경에서 기본으로 사용한다 UDP가 비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토콜 인터넷 환경에서 기본으로 사용한다 TCP 특징 연결형 서비스로 가상 회선 방식을 제공 3-way handshaking 과정을 통해 연결을 설정하소 4-way handshaking을 통해 해제한다 흐름 제어 혼잡 제어 높은 신뢰성을 보장한다 UDP보다 속.. 2022. 8. 27. [Network]데이터 조각화 데이터 조각화란? 일단 데이터 조각화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 MTU에 대해서 알 필요가 있다. MTU란?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가 받아들일 수 있는 최대 데이터 크기를 말한다 최대 MTU 크기는 1500 Btye 본론으로 넘어가서 데이터 조각화란 MTU에 설정한 최대 크기보다 큰 데이터가 들어왔을 때 데이터를 나눠 서 보낸다는 말이다 데이터 조각화 계산 방법 문제 : 크기가 4800인 데이터를 보내고 싶다. 그런데 MTU의 최대 크기가 1500 일 때 패킷이 몇 개로 나누어 보내지는가??? 일단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이 하나 있다 그것은 마지막에 나누어진 패킷에 각각 ipv4를 추가해줘야 한다 그래서 4800 % 1480(1500 - ipv4) = 총 4개가 나오며 마지막 패킷의 데이터 크기는 360이고 .. 2022. 8. 23. [Network] IPV4 IPV4가 뭐야? OSI 7계 층중에 3 계층에 속 허는 프로토콜이다 Ethernet이 가까운 컴퓨터 끼리 통신하는 거였다면 IPV4는 멀리 있는 것끼리 통신 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!! IPV4의 구조는 어떻게 생겼어? 그림을 그려 오겠다 할말이 정말 많다... Version : IPV4, IPV5, IPV6를 구분 하지만 IPV4 만 쓰인다 (IPV6는 구조 자체가 달라서) HLEN : Header의 길이를 작성 (20 ~60Byte 나누기 4를 해서 작성해준다 그래야 4bit로 적을 수 있기 때문에) Service Type : 이 데이터가 중요하거거나 중요하지 않다는 걸 구분 (거의 사용하지 않음 0으로 작성) Total Length : 패킷의 전체 길이 Identification : 패킷의 .. 2022. 8. 11. [Network] ARP 오늘 알아볼 것 오늘은 OSI 7 계층 중 3 계층(Network)의 프로토콜 ARP에 대해 글을 작성해 보려고 한다 ARP가 뭔야? ARP란 내가 상대 컴퓨터의 IP만 가지고 있을 때 사설 IP 대역의 모든 컴퓨터들에게(브로트 캐스트) 문자를 보낸다 문자 내용 혹시 이 IP 네 거야...?? 그럼 Mac 주소 내놔 그럼 이 문자를 받은 모든 컴퓨터는 자신의 IP와 비교 후 맞으면 문자를 보내온 컴퓨터에 응답한다. 만약 자신의 IP와 다르다면 삭제한다. 이것이 ARP이다 ARP의 구조 첫 줄은 거의 0001 0800이 들어간다 Hardware Type : 2 계층에서 사용하는 Protocol Type (Ethernet = 0001) Protocol Type : Source protocol Address에.. 2022. 8. 10. [Network] 서브넷,서브넷 마스크 대체 서브넷과 서브넷 마스크가 뭐야?? 일단 모든 것을 시작하기 전에 이것이 왜 대체 왜 만들어졌는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. 만들어진 이유를 모르면 사용법을 모르는 것과 같다 -염정훈- 그럼 왜 사용하는 걸까? 우리는 클래스 단위로 네트워크를 분류해 왔다, 그런데 어떤 회사에서 적은 양의 호스트가 필요한데 갑자기 B class를 줘서 남는 호스트가 너어어무 많아, 근데 또! 어떤 회사는 많은 양의 호스트가 필요한데 남는 호스트가 너 어어어 무 없어 그래서 클래스만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분류하기에는 너무 비효율 적이다 해서 좀 더 적절하게 나눌 필요성이 보여 서브넷이라는 개념이 생겼다. 그래서 서브넷이 뭐야 위에서 말했듯이 클래스로는 적당하게 나눠지질 않아, 그래서 서브넷이 만들어졌고 서브넷은 하나의 네.. 2022. 8. 4. [Network] 4. 사설IP, 공인IP 사설 ip와 공인 ip 공유기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모든 컴퓨터와 모바일 기기는 하나의 네트워크 LAN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것들은 사설 ip를 받는다 각 장치 사이의 통신은 사설 ip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 공유기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다면 공유기는 인터넷으로부터 할당받은 공인 ip를 이용하여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는 것이다. 알아두면 좋은 DHCP 인터넷이 알 수 있는 것은 공인ip를 할당받은 기기까지의 경로뿐, 사설 ip의 존재는 알지 못함 참고 사이트 https://crone.tistory.com/434 DHCP 란 무엇인가? DHCP,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의 약자로써 한국말로 직역하면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 이라는 의미가 되며 IP주소와 게이트웨이 .. 2022. 8. 1. 이전 1 2 다음